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한 떡 구분 방법 5가지

by 커피 중독자 2025. 6. 26.
반응형

명절, 기념일, 답례품으로 자주 접하는 떡.

하지만 보관을 조금만 잘못해도

금방 상해버리는 섬세한 음식이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한 떡을 구별하는 5가지 방법을 통해

안전하게 떡을 즐기는 팁을 알려드릴게요.

 

 

 

 

 

 

상한 떡 구별 방법 5가지

떡 이미지

 

 

1. 표면에 곰팡이나 얼룩이 생겼다.

  • 떡 표면에 초록색, 회색, 하얀 솜털 모양의 곰팡이가 생겼다면 즉시 폐기해야 합니다.
  • 곰팡이는 일부만 제거해도 안심할 수 없고,
    내부까지 퍼졌을 수 있어 전체 폐기 권장.

 

 

 

 

2. 냄새가 시큼하거나 쉰내가 난다.

  • 신선한 떡은 거의 냄새가 없거나 고소한 냄새가 납니다.
  • 시큼하거나 발효된 냄새, 쉰내가 나면 상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3. 표면이 끈적거리며 점액질이 생겼다.

  • 떡은 원래 쫀득하지만, 이상하게 미끈미끈하거나
    젤 같은 점액질이 묻어나면 이미 세균 증식이 진행 중입니다.
  • 특히 손에 묻는 끈적함이 심하다면 바로 폐기하세요.

 

 

 

 

반응형

 

 

 

 

4. 색이 탁하거나 변색되었다.

  • 백설기, 절편 등의 색이 회색빛, 노르스름하거나
    얼룩진 색으로 변했다면 부패의 신호입니다.
  • 처음보다 색이 탁해졌다면 냉동보관이라도 먹기 전에 확인 필요.

 

 

 

 

5. 맛이 시거나 쓴맛이 난다.

  • 상한 떡은 맛이 변하며 신맛, 쓴맛, 이상한 발효 맛이 느껴집니다.
  • 한 입 먹었는데 이상한 느낌이 든다면 바로 삼키지 말고 뱉고 확인하세요.

 

 

 

 

 

 

떡은 보기보다 수분이 많고 당분도 있어

상하기 쉬운 식품입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실온에 몇 시간만 둬도

변질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죠.

건강을 위한 작은 습관, 떡도 꼭 상태를 확인하고 드세요.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 수박을 구별하는 확실한 방법  (0) 2025.06.29
라면에 어울리는 와인 종류  (0) 2025.06.27
상한 된장찌개 구별 방법  (0) 2025.06.26
전북 유명 사찰 5곳  (0) 2025.06.25
7월 국내 낚시 명소 모음  (0)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