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필수 관용표현 30가지

by 커피 중독자 2024. 2. 12.
반응형

 

언어는 단순히 소통의 도구를 넘어 문화와 지혜를 전달하는 매개체입니다.

특히 관용표현은 언어의 색채를 더하며, 말의 풍부함과 깊이를 제공합니다.

초등학생들에게 관용표현을 가르치는 것은 그들이 언어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갖출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30가지 관용표현과 그 뜻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이 언어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다: 매우 귀하게 여긴다는 의미.

 

 

2. 귀가 솔솔하다: 좋은 소식이 들려올 것 같은 예감이 든다.

 

 

3.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변명의 여지가 전혀 없다.

 

 

4. 바늘구멍으로 낙타가 들어간다: 매우 어려운 일이 일어난다.

 

 

5. 등잔 밑이 어둡다: 가까운 곳의 사실을 모른다.

 

 

6. 가재는 게 편이라: 비슷한 처지 사람끼리 잘 어울린다.

 

 

7.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일이 잘못된 뒤에야 대책을 세운다.

 

반응형

 

8.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어떤 사람을 말하고 있으면 그 사람이 나타난다.

 

 

9.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자주 보지 않으면 정이 떨어진다.

 

 

10. 입밖에 낸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다: 한번 한 말은 취소할 수 없다.

 

 

11.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근거 없는 일에는 결과가 없다.

 

 

12.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지혜로운 사람일수록 겸손하다.

 

 

13. 공든 탑이 무너지랴: 공들여 이룬 일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14.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비밀은 쉽게 샌다.

 

 

15.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 한다: 자신의 과거를 잊고 남을 무시한다.

 

 

16.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 적절한 말 한마디가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17.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어떤 일은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낳는다.

 

반응형

 

18. 우물 안 개구리: 좁은 세계에 갇혀 넓은 세상을 모른다.

 

 

19. 물에 빠진 사람은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절박한 상황에서는 어떤 것이라도 도움을 청한다.

 

 

20.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자신에게 이로운 것만 취하려 한다.

 

 

21.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라도 해결책은 있다.

 

 

22. 빈 수레가 요란하다: 실속 없는 사람일수록 말이 많다.

 

 

23. 산 넘어 산: 어려움을 해결하면 또 다른 어려움이 있다.

 

 

24.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 한다: 명백한 사실을 부정하려 하나 소용없다.

 

 

25. 쇠귀에 경 읽기: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듣지 않는 사람에게는 소용없다.

 

 

26. 오지랖이 넓다 : 사사건건 모든 일에 참견하는 면이 있다.

 

반응형

 

27. 호박이 넝쿨째로 굴러 들어온다: 우연히 좋은 일이 생긴다.

 

 

28.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일에 대해 섣불리 기뻐한다.

 

 

29.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 새로 온 사람이 기존의 사람을 밀어내거나 해를 입힌다.

 

 

30.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조금씩 조금씩 손해나 피해가 커진다는 뜻.

 

 

 

 

 

 

관용표현을 통해 언어의 색다른 매력을 경험하고,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표현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이러한 관용표현을 배움으로써, 언어 사용 능력은 물론,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도 함께 발달할 것입니다.

오늘 소개한 30가지 관용표현을 학생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며,

그 안에 담긴 깊은 의미와 지혜를 체득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